[코스피 3,000시대] 주역은 동학개미…커지는 '빚투' 우려도
국내 증시의 '3,000시대' 개막은 외국인도 기관도 아닌 개인 투자자가 주도했다. 2007년 7월 첫 2,000 돌파가 외국인과 기관의 몫이었다면 3,000 돌파의 주체는 다른 셈이다. 외국인과 기관이 사실상 양분해 온 국내 주식시장에서 지수는 그동안 이들의 수급에 따라 움직여 왔고, 개인은 그 틈에서 말 그대로 흩어진 '개미'였다. 적어도 2019년까지는 그랬다. 그러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는 개인들에게 기회가 됐고, 마침내 국내 증시의 한 축으로 자리 잡았다. 코스피가 지난해 3월 코로나19 패닉으로 1,500선 아래까지 밀렸던 상황에서 개인들은 '동학개미'가 돼 지수를 끌어올렸다. 지난해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24조5천억원과 25조5천억원어치 팔아치울 때 개인들이 무려 47조4천억원을 사들이며 국내 증시를 떠받친 것이다. 특히, 지난 12월에는 무려 14년 만에 처음 순매수를 기록하기도 했다. 계속되는 주식 양도세 부과 대주주 기준 하향 등의 영향으로 개인들은 2007년을 끝으로 2008년부터는 매년 마지막 달 주식을 내다 팔았다. 그러나 지난해에는 3조6천억원어치를 사들이면서 11월 말 2,600선 수준이었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