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트럼프 행정부는 예일대학교(Yale University)를 인종에 따라 지원자 차별함으로 연방 민권법 위반 혐의로 소송을 걸었다. 인종 우대정책은 미국 연방 대법원에서 지켜진 관행이었지만, 새로 지명받은 에이미 코니 배렛(Amy Conney Barrett) 판사를 포함한 보수 다수인 미국 연방 대법원이 관행을 이어나갈지는 미지수 인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법무부는 예일 대학교는 수십 년 동안 인종을 기반한 차별적인 입학 절차를 금지하는 연방 민권법을 위반했다고 주장했다. “예일 대학교는 교육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입학 절차를 진행하지 않고, 인종 선호도를 기반으로 한 입학 절차를 제도화했다”라고 소송장에 기재했다. 법무부의 주장에 피터 살보니(Peter Salvoney) 예일대학교 총장은 “다양한 학생 구성을 이루기 위해 인종을 입학 선별 절차 중 하나로 사용하고 있다”라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서, “예일대학교는 지원자들을 인종이나 민족으로 차별하지 않는다”며 “입학 절차는 공정하고 합법적”이라고 주장했다. 법무부는 소송을 제기하기 전에, 2년 동안 진행된 수사 결과를 가지고 소송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해당 수사는 2016년도에 동양계 미국인 단체들이
미국 대선의 막판 최대 변수로 꼽히는 후보 간 TV 토론이 일주일 앞으로 다가왔다. 이번 토론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대규모 유세가 힘들어진 상황에서 유권자가 대선주자를 피부로 느낄 기회라는 점에서 예년보다 중요성이 훨씬 커졌다. 22일(현지시간) 미 언론에 따르면 비영리 민간기구 대통령토론위원회(CPD)는 29일 열릴 첫 토론 주제가 연방대법원과 코로나19, 경제, 인종, 폭력, 선거의 완전성 등 6개로 정해졌다고 이날 발표했다. 주제는 첫 토론 진행자인 폭스뉴스의 크리스 월러스 앵커가 선정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민주당 조 바이든 대선 후보의 첫 토론은 오하이오주 클리블랜드에서 90분간 진행된다. 주제별로 15분씩 시간이 배정된다. 대법원은 최근 루스 베이더 긴즈버그 대법관 별세로 첨예한 이슈가 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후임자 임명을 강행하려 하지만 민주당은 차기 대통령이 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코로나19 대응과 경기 위축, 경제 활동 재개도 논란거리가 돼왔다. 인종과 폭력 문제는 5월 흑인 조지 플로이드 사망 이후 전역으로 번진 인종차별 항의 시위가 과격 양상으로 흐르면서 핵심 이슈가 됐다. 미 대선에 외국이 개입할 가능성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