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학개미 운동' 등 주식투자 열풍으로 작년 한해 가계가 주식 투자를 위해 굴린 돈이 사상 최대인 83조원에 이르렀다. 하지만 동시에 가계의 금융기관 차입금도 역대 기록을 세워 가계 주식투자의 상당 부분이 대출을 통한 '빚투'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한국은행이 8일 공개한 '2020년 자금순환(잠정)' 통계에 따르면 가계(개인사업자 포함) 및 비영리단체의 순자금 운용액은 192조1천억원으로 집계됐다. 2019년(92조2천억원)의 2.1배 수준으로, 직전 최대 기록인 2015년의 95조원을 뛰어넘었다. 순자금 운용액은 해당 경제주체의 자금 운용액에서 자금 조달액을 뺀 값으로, 보통 가계는 이 순자금 운용액이 양(+)인 상태에서 여윳돈을 예금이나 투자 등의 방식으로 기업이나 정부 등 다른 경제주체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작년 가계의 순자금 운용액 규모가 역대 최대 수준을 기록한 것은 코로나19 재난지원금을 비롯해 정부로부터의 이전소득 등으로 소득은 늘었지만, 대면서비스를 중심으로 소비가 감소하면서 그만큼 가계의 여윳돈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조달액을 고려하지 않은 지난해 가계의 전체 자금 운용 규모(365조6천억원)도 사상 최대 기록이었다. 자금 운용을 부문별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경기 부진 속에 생활자금 마련과 집값 급등, 전세난, ‘영끌’, ‘빚투’로 대표되는 주식투자 열풍까지 겹친 지난해 은행 가계대출이 2019년 말에 비해 100조원 넘게 불어났다. 한 해 가계대출이 100조원 이상 늘어난 것은 처음으로, 사상 최대 증가폭이다. 한국은행이 14일 발표한 '2020년 12월중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12월말 은행 가계대출 잔액은 988조8000억원으로 지난 한 해 동안 100조5000억원 폭증했다. 이는 한은이 관련 통계를 집계한 2004년 이후 사상 최대 증가 규모다. 또한 직전 최대치인 지난 2016년(68조8000억원) 기록을 4년 만에 갈아치웠다. 가계대출 가운데 주택담보대출(전세자금대출 등 주택 관련 대출 포함)과 기타대출(신용대출 등)의 지난해 말 잔액은 각각 721조9000억원, 266조원으로 1년 사이 68조3000억원, 32조4000억원씩 늘었다. 주택담보대출은 2015년(70조3000억원)에 이어 두 번째로 큰 증가 규모이며, 기타대출은 사상 최대 증가 기록이다. 지난해 가계대출이 폭증한 건 집값 상승 등에 따른 주택 영끌·패닉바잉(공황구매) 열풍에 신종
한국 투자증권사에 의하면 올해 코스피 지수 투자가치 중 65%가 개인 당일 매매 (데이트레이딩) 주식투자자로 구성되어 있다고 밝혔다. 작년 대비 (2019년도 48%), 17%가량 증가했다. 이 중 신규 개인 당일매매 투자자들은 20대 30대 신규 투자자로 구성되어 있다고 밝혔다. 20~30대 주식투자자들이 증가하면서 주식투자를 위한 대출량도 더불어 증가하고 있다고 블룸버그(Bloomberg) 외신이 보도했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주식투자자 증가하는 경제적인 현상보다 사회적 현상이다. 맥쿼리 자산운용 한국지사 투자부문 총 책임자 전경대 씨는 “주식시장은 경제학보다 사회학에 따라 움직이고 있다”고 밝혔다. 이한구 수원대 경제학 교수는 “ 한국 밀레니얼 세대는 취업난으로 인해 절박함의 끝에 도달았다”라고 밝혔다. ‘부동산 가격 상승세는 밀레니얼 세대의 절박함에 압력을 더하고 있다’라고 덧 붙였다. “지금 시국에서는 주식 투자는 성공할 수 있는 일생에 단 한번의 기회”라고 강조했다. 서울에서 재활용 사업장을 운영하고 있는 박성우 씨는 “부모님의 도움 없이 집을 구매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며 “주식투자 이익으로 집을 구매하고 싶다”라고 밝혔다. 안동현 서울대 경제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