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 정부가 2일 약 한 달 전부터 억류 중인 한국 화학 운반선 '한국케미'호의 선원 대다수를 풀어주기로 했다. 이란 정부가 내세운 명분은 ‘인도주의적 조처’다. 그러나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들어서면서 제재 완화 기대감이 높아진 이란 정부가 선제적으로 한국 선원들을 풀어주고 협상의 유리한 고지를 점하려는 계산이 깔려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어차피 미국의 협조 없이는 동결자금 문제가 해결될 수 없는 상황에서 사태 장기화는 오히려 역효과만 낼 수 있기 때문이다. 앞서 이란 혁명수비대가 지난달 4일 호르무즈 해협의 오만 인근 해역에서 한국 국적 선박 '한국케미'를 나포하면서 한국인 5명을 포함해 미얀마,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선원 총 20명이 이란 남부 반다르아바스항에 억류됐다. 이란은 선박과 선원을 억류한 이유로 대외적으로는 해상오염에 따른 사법절차를 들고 있지만, 속내는 한국 시중은행에 동결된 이란중앙은행 명의의 자금 70억 달러(약 7조6천억 원)의 해제에 있다는 관측이 지배적이었다. 이란 측에서 선박 나포와 동결자금 문제는 무관하다면서도 '동결자금 문제에 진전이 있으면 석방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취지의 메시지가 계속 흘러나오면서 '동결자금 해결없이
이란 외무부가 6일 “한국은 이성적으로 행동해야 한다”며, “외교적 방문의 필요가 없다”고 입장을 밝혔다. 이는 6일과 10일 각각 이란을 찾을 예정이었던 우리 대표단 방문에 대한 이란 외무부에 답변이다. 이란 외무부는 대변인을 통해 “이번 이슈는 철저히 기술적인 것”이라며 “한국이 이성적으로, 논리적으로, 책임감 있게 행동해야 한다”고 했다. 이어서, 이란 외무부는 “다른 나라와 마찬가지로 이란은 해양 오염에 각별히 신경 쓰고 있으며 향후 법에 따라 처리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일각에서는 정부가 실무단과 10일 최종건 차관 등 고위급 방문을 통해 이번 문제를 해결하려고 했던 계획이 무산될 가능성도 제기하고 있다. 이 갈등은 이전 4일, 이란 혁명수비대가 한국 유조선인 “한국케미호”를 환경오염을 이유로 나포하면서 시작됐다. 해당 선박에는 한국인 선원 5명과 외국인 15명이 있는 상태이고 모두 안전한 것으로 전해졌다. 선박 회사측은 해양을 오염시키지 않았다는 입장이며, 아직 어떠한 증거도 없는 상태이다. 이란이 이렇게 나오는 이유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추측이 일어나고 있다. 2018년 트럼프 행정부가 핵협상을 탈퇴한 이란을 대상으로 경제제재에 들어갔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