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해 1998년 외환위기 이후 가장 긴 경기 침체가 이어지면서 업종 간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은 분기별 국내총생산(GDP)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4분기 GDP가 462조8천억원으로 코로나19 발생 직전이었던 2019년 4분기 GDP(468조8천억원)의 98.7% 수준에 머무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21일 밝혔다. 한경연은 2008년 4분기의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에는 1년만에 분기별 GDP가 위기 직전(2008년 3분기) GDP의 101.0% 수준을 회복했던 것과 비교하며 코로나19로 우리 경제가 글로벌 금융위기 이상의 충격에 빠졌다고 주장했다. 또 위기 직전 분기 GDP와 위기 발생 이후 GDP 최저치를 비교해 계산한 감소율로 충격 강도를 측정한 결과, 외환위기(-7.6%)가 가장 컸고 코로나19(-4.4%), 금융위기(-3.2%) 순이었다고 말했다. 충격 회복에 걸린 기간은 외환위기가 6분기, 금융위기가 4분기였고 코로나19는 5분기째 진행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업종별로는 양극화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제조업은 분기 GDP가 지난해 2분기에 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우리나라의 재정수지와 인플레이션이 악화하고 있는 가운데 유사한 상황에서 경제개혁에 성공한 토니 블레어 전 영국 정부를 참고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토니 블레어 노동당 정권이 집권했던 1997년~2007년간 경제정책과 성과지표를 분석한 '영국 블레어 정부 개혁정책과 시사점'을 15일 발표했다. 전경련에 따르면 영국은 이 기간 연평균 2.8% 성장해 유럽 평균 성장률(2.2%)을 상회했다. 또 1인당 국내총생산(GDP)이 1997년 2만6천 달러에서 2006년 4만6만 달러로 증가해 유럽 내 1위 국가로 등극했다. 전경련은 진보 성향의 노동당 정권인데도 재정건전성 회복과 복지개혁, 기업 활동 지원에 방점을 둔 것이 성공 비결이었다고 설명했다. 당시 영국 정부는 통화정책 실패로 인플레이션을 경험했는데 블레어 전 총리는 집권 후 영란은행을 독립시켜 물가상승률을 정부 목표치 안에 안착시켰다. 또 방만한 재정 운용으로 재정 상황이 악화하자 정부부채 수준을 GDP 대비 40% 이내로 유지하는 재정 준칙을 1997년 수립했다. 그 결과 영국의 GDP 대비 공공지출 비율은 1996~1997년 41.2%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