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1.05 (일)

  • 흐림동두천 -0.9℃
  • 흐림강릉 2.6℃
  • 서울 -0.3℃
  • 대전 0.5℃
  • 흐림대구 -1.5℃
  • 흐림울산 0.3℃
  • 비 또는 눈광주 0.8℃
  • 흐림부산 3.9℃
  • 흐림고창 1.1℃
  • 제주 7.1℃
  • 흐림강화 0.4℃
  • 흐림보은 -3.4℃
  • 흐림금산 -0.6℃
  • 흐림강진군 -0.1℃
  • 흐림경주시 -3.1℃
  • 흐림거제 1.6℃
기상청 제공

국제

미국, 중국의 패권 야욕 경고…

 

세계 여러 나라의 주요 소식을 전해 드리는 ‘지구촌 오늘’입니다.

 

진행자) 오늘은 어떤 소식들이 있습니까? 

 

기자) 네. 미국 정부 고위 관리들이 잇달아 중국의 영향력 확대를 강력히 경고하고 나섰습니다. 미 정보 당국자는 전 세계가 중국 지배의 ‘맛(taste)’을 보고 있다고 경고했는데요. 관련 소식 먼저 살펴보겠습니다. 이어서 미국과 유럽연합(EU)이 러시아 반정부 인사 알렉세이 나발니 씨와 관련해 러시아를 제재했다는 소식, 이라크 주둔 미군 기지가 10여 발의 로켓 공격을 받은 소식,  전해드리겠습니다.

 

진행자) 지구촌 오늘 첫 소식입니다. 미국 정부 관리들이 중국의 영향력 확대를 계속 경고하고 있다고요?

 

기자) 네. 미국 인도·태평양사령부 사령관과 정보국장 등 미국 국방부 고위 관리들이 연일 중국의 패권 움직임을 경고하고 나섰습니다. 미 국방 책임자들은 1일과 2일 열린 국제 안보 관련 화상 회의에 참석해 중국의 최근 움직임을 강도 높게 경고했습니다. 

 

진행자) 미국 관리들이 어떤 이야기를 했는지 좀 더 구체적으로 볼까요?

 

기자) 네. 미국 인도·태평양사령부 정보국장인 마이클 스투드먼 해군 소령이 2일 회의에서 미국과 국제 안보에 관해 설명했는데요. 스투드먼 국장은 중국이 점점 더 야심 차고 침략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다면서, 이제 전 세계는 더 이상 이런 파장에서 숨을 수 없다고 경고했습니다. 

 

진행자) “전 세계가 중국 지배의 ‘맛(taste)’을 보고 있다”는 말도 같은 맥락인가요?

 

기자) 그렇습니다. 스투드먼 국장은 “우리는 지금 중국이 주도하는 것, 또는 중국의 영향력을 깊이 받는다는 게 무슨 뜻인지 맛보고 있다”라고 지적했습니다. 중국은 현재 ‘일대일로’ 대외정책을 통해 전 세계에 경제적 영향력을 확장하고 있는데요. 이번 회의에서는 중국의 군사력 확대를 집중 조명했습니다. 

 

진행자) 중국이 전 세계에서 군사적 영향력을 전보다 더 확장해 나가고 있다는 거군요?

 

기자) 네. 스투드먼 국장은 중국이 자국의 무력을 확장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제 전 세계 곳곳에서 중국 군대를 쉽게 볼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중국은 어느 곳이든 자국의 이익이 위협을 받는다고 생각하면 결국에는 인민해방군을 보내고 있다는 건데요. 그러면서 앞으로는 점점 더 많이 파병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진행자) 지금 중국은 홍콩이나 타이완에 대해서도 무력 위협을 하고 있지 않습니까?

 

기자) 맞습니다. 스투드먼 국장도 그 점을 지적했는데요. 미국 관리들은 홍콩이나 타이완의 발전을 토대로 중국이 어떤 식으로 지배권을 주장하는지 분명한 유형을 수립한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자유와 자율이 죽고 법치가 무너진 모습이 오늘의 중국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진행자) 미국의 인도·태평양사령부 사령관이 회의에 참석했었다고요?

 

기자) 네. 필립 데이비슨 인도·태평양사령부 사령관도 전날(1일)  회의에 참석했는데요. 데이비슨 사령관은 인도·태평양에서 직면하고 있는 가장 큰 위협으로 중국에 대한 억지력 약화를 꼽았습니다. 그러면서, 중국 측에 무력으로 야욕을 달성하려는 대가가 얼마나 큰지 알릴 수 있어야 강조했습니다.  

 

진행자) 지금 국방부 산하에는 중국 문제를 전담하는 부서도 신설됐죠?

 

기자) 맞습니다.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달, 국방부에 대중국 국방 안보 전략을 수립할 ‘중국 태스크포스’를 설치하라고 명령했는데요. 1일 첫 회의가 열렸습니다. 

 

진행자) 로이드 오스틴 국방부 장관도 회의에 참석했습니까?

 

기자) 네. 오스틴 장관을 비롯한 군 수뇌부와 정보 당국자, 민간인 전문가 등 20여 명이 참석했습니다. 중국 태스크포스는 앞으로 4개월 안에 대중국 국방전략과 구체적이고 실행 가능한 권고사항 등을 담은 보고서를 제출할 예정입니다.  

 

진행자) 바이든 행정부 출범 후 미국과 중국 관계가 어떻게 풀릴지 큰 관심사였는데, 별로 개선되는 조짐은 없는 것 같군요?

 

기자) 그렇습니다. 조 바이든 대통령은 취임 후 외교의 중요성을 줄곧 강조하면서, 신속히 각국과 관계 회복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하고 있는데요. 하지만 중국과는 전혀 개선 조짐이 보이지 않고 있다고 AP 통신은 평가했습니다. 

 

진행자) 실제로 바이든 대통령이 최근 국제 행사에서도 중국에 대해 강력한 입장을 내놓지 않았습니까?

 

기자) 맞습니다. 지난달 주요 7개국 정상회담과 뮌헨 안보 회의가 있었는데요. 바이든 대통령 취임 후 첫 국제무대 등장이기도 했습니다. 이 자리에서 바이든 대통령은 중국을 경쟁국으로 적시했습니다. 그러면서 중국과 장기적으로 경쟁하기 위해서는 동맹국들이 함께 협력하고 준비해야 한다고 강조한 바 있습니다. 

 

[본 채널은 VOA 뉴스와 연합뉴스와 콘텐츠 이용계약을 맺었으며, VOA 뉴스와 연합뉴스 콘텐츠는 본 채널의 편집방향과 무관합니다.]

 

[자유민주주의 스토어 바로가기]